본문 바로가기

꿀정보

(일본) MVNO (알뜰폰) 가이드 FAQ (2017년 9월 기준)

반응형



한국의 MVNO도 많이 커졌지만, 일본 역시 MVNO (格安スマホ)시장 역시 점차 커져가고 있습니다.


이 글은, 한국 국적 등을 가진 외국인이 일본에서 MVNO를 사용하려면 어떤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FAQ 입니다.




1. 일본의 통신사(MNO)는 3곳이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그렇다면 각 회사 모두 알뜰폰이 있나요?


- 네. 마지막까지 버티고 있던 소프트뱅크도 일본 정부의 철퇴를 맞고 MVNO를 허용하여 현재는 docomo, au, softbank 3사 모두에 대한 알뜰폰 업체가 존재합니다.




2. 그럼 일본에서는 얼마나 알뜰폰을 많이 사용하고 있나요?


- 2017년 6월 말 기준 일본 국내 전체 회선 수 1억 6411만 회선 중 약 10%인 1636만 회선이 순수 MVNO 회선 입니다. 

http://k-tai.watch.impress.co.jp/docs/news/1082276.html




3. 한국인이 일본에서 알뜰폰을 계약하려면 무엇이 필요하나요?


- 대표적으로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이메일 (신청시 메일 수신 가능한 것)

② 이름

③ 일본 국내 주소

④ 일본 전화 번호

⑤ 계약자 명의의 신용 카드 (거의 대부분의 업체에서 필수) 혹은 일본 국내 은행 계좌

(옵션) ⑥ 본인 확인 서류 (음성 + 데이터 전용), MNP 예약 번호 (타사에서 갈아 타실 경우)



보통 전화가 안되는 데이터 전용 SIM의 경우에는 '본인확인'을 거치지 않고 어떠한 서류제출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단기 체류자도 SIM 카드를 수령할 일본 국내의 주소만 있다면 충분히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실제 전화번호가 발급되어 전화가 되는 음성+데이터 SIM의 경우, 당연히 규제를 받기 때문에 가입을 위해서는 일본 국내에서의 신분증 제출이 필요합니다. (건강보험, 재류카드, 운전면허증, 경우에 따라 여권 등등 중 1개 혹은 2개. 회사별로 다름)


계약자 명의의 신용카드는, 해외 발급 신용카드를 받아주는 곳도 있고 (대표적으로 mineo), 받아주지 않는 곳도 있습니다. 또한, mineo, BIGLOBE, 라쿠텐 모바일이나, OCN 모바일 ONE, 라라 모바일 등의 경우 신용카드가 없어도 신청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는 일본 국내의 은행 계좌이체로만 신청이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수수료(100엔)를 받습니다. 라쿠텐 모바일의 경우 라쿠텐 은행(케이뱅크, 카카오뱅크와 같은 인터넷 은행)의 캐시카드가 있다면 그걸로 이체가 가능합니다.




4. 일본 알뜰폰 업체 순위를 알려주세요.


- 1위가 IIJmio 로 서비스 하는 IIJ, NTT 자회사인 NTT커뮤니케이션즈의 OCN 모바일 ONE, 간사이전력의 자회사인 케이옵티콤의 mineo, 라쿠텐이 서비스하는 라쿠텐 모바일, U-NEXT가 운영하는 U-mobile, 일본통신의 b-mobile, au의 자회사 UQ mobile, 네이버 자회사 라인이 운영하는 라인 모바일, 유선인터넷 업체 nifty가 운영하는 nifmo, DMM에서 운영하는 DMM mobile 등이 있습니다. 대체로 순위는 변동이 심한 상황이지만, IIJ, OCN, mineo, 라쿠텐 정도의 순위가 1-4위 정도 됩니다.




4-2. Y!mobile이라고 있던데 이건 알뜰폰 아닌가요?


- CM에서 '格安スマホ(알뜰폰)'이라고 주장하는 Y!mobile은 당초에는 시장 4위의 통신사(MNO) 였다가, 소프트뱅크가 인수하여서 '저가 통신 브랜드'를 만들었을 뿐, 망을 대여해서 사업하는 업체는 아닙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소프트뱅크 안에 'Softbank'라는 브랜드와 'Y!Mobile'이라는 브랜드가 2개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통신망을 가진 채로 제공중) 이는 au가 자회사 UQ mobile을 가지고 있지만, UQ mobile은 실제로 망을 대여해서 사업하기 때문에 MVNO이고, 와이모바일의 경우는 그냥 소프트뱅크라고 보시면 됩니다.






5. 대략 요금은 어느 정도 나오나요?


- 데이터 전용 기준으로 3GB 972엔(세금 포함)로 거의 모든 업체가 수렴해가는 상황입니다. 다만, 전화번호를 발급 받는 '음성 회선'의 경우 이에 756엔을 추가한 1728엔의 경우가 대부분입니다.(통화료는 30초/20엔 세금별도) 각 업체별로 요금제는 다르며, 종량제식 요금 (-100MB 323엔, -1GB 539엔, -3GB 972엔......)을 채택한 freetel과 같은 업체도 존재합니다. 또한, 무제한 (상한 QoS 존재) 요금제를 제공하는 업체도 존재합니다. 무제한 통화 요금제를 제공하는 업체도 존재합니다.




6. 그럼 가입비는 따로 있는 거죠? 유심 카드 발행 수수료는요?


- 가입 사무수수료는 3240엔을 대부분의 업체에서 받습니다. 하지만, 이 수수료를 회피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아마존에서 '가입 신청 패키지'를 구매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주소에서 477엔에 판매하고 있는 mineo 가입 신청서의 경우, 477엔에 무료배송으로 '신청코드'가 배달되며, URL에 접속하여 그 코드를 입력하면 가입 사무수수료인 3240엔을 대신하는 것입니다.


https://www.amazon.co.jp/%E6%A0%BC%E5%AE%89SIM%E3%83%BBSIM%E3%82%AB%E3%83%BC%E3%83%89/b/ref=dp_bc_3?ie=UTF8&node=2285145051


물론 오프라인 형태의 가게나 빅카메라, 요도바시 카메라 등의 오프라인 출점 형태의 가게에서도 계약하셔도 되나, 자신이 충분히 정보를 인지하고 있다면 굳이 거기서 3240엔을 지불할 필요 없이 아마존이나 라쿠텐, 야후쇼핑 등 인터넷에서 충분히 싸게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아마존 등의 가입신청서 구매 방식의 경우, 바로 당일에 사용할 수 있는 오프라인과는 달리 1. '가입신청서'의 배달까지 약 1일, 2. '실물 SIM 카드'의 배달까지 3-7일 정도, 총 약 일주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됩니다. 급하다면, 당연히 오프라인에서 바로 가입하는게 낫습니다.)


SIM카드는 발급 수수료(약 380엔)를 따로 받는 라인모바일(해지시 반납필요), freetel과 같은 경우가 있고(반납 불필요), 무료로 발급하는 대신 나중에 해지할 때 특정 주소로 sim카드를 우편으로 반납해야 하는 업체가 존재하기도 하고, 그냥 쿨하게 무료로 발급해주고 해지 후에도 반납하지 않아도 되는 업체도 존재합니다. 




7. 엥? 한국보다 많이 싼거 같은데 왜 이렇게 싼가요?


- 당연히 함정이 있습니다. 한국의 알뜰폰은 LTE 다운로드 기준 150Mbps 정도 실제 속도를 뽑아내 주지만, 일본의 알뜰폰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망의 일부 대역폭만 빌려서 서비스하기 때문에 보통 실제 속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평소 속도)


다운로드 : 2 ~ 40 Mbps

업로드 : 1 ~ 10 Mbps



(혼잡시, 대략 점심시간대와 저녁 7시 ~ 11시 속도)


다운로드 : 0.x ~ 3 Mbps

업로드 : 0.x ~ 3 Mbps



즉, 대부분의 메이저 업체의 점심시간대의 속도는 보통 초기 3G 정도의 속도인 1~3Mbps 정도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당연히 이에 대한 불만도 일본 내에서 슬슬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는 중입니다. 




8. 그렇다면 어디 알뜰폰이 그나마 속도가 잘 나오나요?


- 대체로 2가지 경우가 있는데, au의 자회사 버프를 받은 1. UQmobile과 2. Softbank 알뜰폰인 U-mobile S, b-mobile S가 낫습니다. 


Softbank 계열 알뜰폰이 속도가 잘 나오는 이유는 정부에 저항하다 해금된지 얼마 안되어서 아직 서비스하는 업체가 적고 사용자 수도 많지 않기 때문이므로 추후 느려질 수 있습니다. 


대체로 개인적으로 6-7사 정도 사용해본 결과, 아래의 블로그에서 매주 발표하는 속도 테스트와 유사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https://www.google.co.jp/amp/s/mobareco.jp/a80294/amp/




8-2. 그렇다면 속도를 중시한다면 어떤 업체를 골라야 할까요?


- 정답은 데이터 무제한을 제공하지 않는 곳, 혹은 대형업체를 이용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UQ mobile은 데이터 무제한 플랜이 존재하지만, 속도 제한 500kbps가 걸려있어 실제로는 헤비유저가 회선을 점유하기 어려운 구조 입니다(실제로는 3GB 요금제 하나만 제공). 헤비유저가 무제한급을 많이 쓰는 freetel이나 U-mobile, 소형 업체인 DTI sim이나 NURO 모바일 등은 속도가 처참한 수준입니다. *속도는 지역별로 천차만별이므로 일반적인 참고사항으로 알아두시면 됩니다.




8-3. 데이터를 많이 쓰고 싶으면요?


- 속도가 그다지 중요하다면 그냥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가 존재하는 대형 업체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U-mobile LTE 무한 (2678엔 ~)

nuro모바일 하루 5시간 무제한 (2700엔)

DTI SIM 넷이용무한 (2376엔 ~)

프라라 모바일 LTE 정액 무제한 (2981엔 ~)



8-4. 일본에서 단기간 아프리카TV, 트위치, 유튜브 스트리밍을 하고 싶은데요.


- Wimax (au 계열, UQ wimax) 가 아닌 일반 LTE 형태의 포켓와이파이 (LTE 에그)를 현지 업체를 통해 대여하시기 바랍니다. QoS가 존재할 텐데, 일/3GB 혹은 3일당 3GB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계약일 수당 1GB인 곳도 존재합니다. 방송을 하루종일 계속하셔야 하는 빅스트리머라면 2대 이상 빌리시면 됩니다.





9. 음성 + 데이터 요금제는 외국인이 가입하기 어렵나요? 제약 조건이 있다면요?


- 음성 회선의 경우 앞서 설명드렸듯 대부분 756엔의 월 정액료가 추가되는 정도로 대부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단말기를 할부로 같이 구매하지 않는 경우 최근 일반 통신사 (MNO)와 다르게 외국인도 가입하기가 쉽습니다. 다만, '최소이용기간'을 대부분의 업체에서 설정하여 12개월 이내에 해지하거나 번호이동 할 경우 위약금 10000엔 청구 등의 조건이 붙어있고 이는 업체마다 다르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10. 알뜰폰 업체에서 단말기와 월 통신 요금제를 세트로 판매하는데(コミコミ) 사도 되나요?


- 할부금이 엄청나기 때문에 구매하지 않기를 추천합니다. 차라리 신품급 중고를 사서 계약하세요.



예를 들어 아이폰SE 32GB를 UQ mobile에서 구매하려고 할 경우, 할부금으로 44172엔이 분할 청구됩니다. 또한 32GB의 경우 단종된지 꽤 되었으므로 제조일자가 오래된 제품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http://www.uqwimax.jp/iphone/plan/




iPhone SE 16GB를 라쿠텐 모바일에서 구매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얼핏보면 2년 약정에 19800엔(세금별도)만 내면 될거 같지만, 3년 약정에 위약금 29800엔 설정됩니다. 게다가 단말기 자체는 리퍼 단말기 입니다.


https://mobile.rakuten.co.jp/campaign/iphone_cpo/?l-id=article_iphone_pc_iphone_cpo




또, 이 글에서 계속 지적하고 있듯, 데이터 전송속도가 생각보다 느리기 때문에 미리 한번 경험을 해보고 2년을 사용해야 합니다.







질문이 있다면 아래의 '하트' 버튼을 누른 뒤에 


댓글을 달아주시면 답변해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