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기사번역] 타임지(Time) 아시아판 문재인 표지 등장! '협상가 문재인' 기사 완전번역 전문 2017년 5월 15일 자 문재인 타임지. (아시아판 표지, 나머지는 기사 형태 보도) http://time.com/4766618/moon-jae-in-the-negotiator/ The Negotiator (협상가) 1976년 8월 18일 아침, 2명의 미군 병사가 한국의 비무장지대에 있는 미루나무를 자르기 위해 나섰다. 그 나무는 1950년 부터 1953년에 걸친 한국전쟁이 정전협정으로 실질적으로 종료된 이래, 한반도를 공산주의 북쪽과 자본주의 남쪽으로 갈라 놓은 긴 띠 형태의 땅에 서있던 유엔과 북한의 경계초소 간의 시야를 막고 있었다. 양측은 이 나무를 베어내는 것에 동의했으나, 북한은 이 작업을 중지하라는 명령을 병사들에게 내렸다. 미군 대위 아서 보니파스(Arthur Bonifas)와 중위 마.. 더보기
일본 국내로의 해외 직구가 더 싸질 수 있는 이유 (관세, 소비세) 오늘은 해외 -> 일본 으로 물건을 수입할 때 개인 수입시의 관세와 소비세(부가세)에 관해 간단히 알아봅시다. 그 전에 먼저...... 2016년 현재, 해외 직구시 대한민국으로의 수입은 미국의 경우 목록통관시 물품가격 200달러 이하, 미국의 일부 식의약품과 그외 국가 수입시 물품가격 150달러 이하일 경우 모든 세금이 면제됩니다. 이러한 세금 면제 범위 외의 경우, 관세와 부가세 등의 세금이 부과가 되는데 물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관세가 없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인 휴대폰이나 노트북 등의 PC는 관세율이 0% 인 것이죠.하지만 여전히 200달러가(미국 이외 150달러) 초과된 이들 제품에 대해서 '부가세'는 과세가 됩니다. 부가세는 당연하지만 10%죠. 이 세금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 더보기
'대한민국에서는 왜 노벨상이 나오지 않는 것일까?'에 대한 대답 개인적으로 한번 쯤 써볼까 하는 주제에 대해서 제 소견을 적어볼까 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6년 현재까지도 과학 분야 노벨상이 단 1명도 배출되지 않았습니다.옆나라 일본은 이미 두자릿수가 넘어간지 오래고, 중국에서도 수상자가 나올 정도인데 왜 대한민국에서는 수상자가 나오지 않는 것일까. 저는 이렇게 봅니다. (1) 애초부터 '노벨상'에 집착하는 사회적 분위기 노벨상이라는 것은, 각 과학분야 등에 있어서 뛰어난 연구 업적을 남긴 사람에 대한 상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역사적인' '기념비적' 업적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한국의 기초과학은 사실상 아직 50년도 채 되질 않았습니다. 70년대 초 카이스트의 전신인 '한국과학원'이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대한민국에서 손 꼽.. 더보기